산업안전관리자선임/안전보건관리담당자 선임제도 시행 산업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안전보건관리담당자는 해당 자격에 소지한 해당 근로자를 자체적으로 채용하거나 고용노동부에서 지정한 안전전문기관등에 위탁하시면 됩니다. 【안전관리자 확대업종 】 1. 농업, 임업 및 어업 2. 봉제의복제조업 등 제조업 전부 3.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산업안전관련 소식 2018.11.20
산업안전관리업무 대행(컨설팅)업무 위탁 질문)산업안전관리대행기관 위탁 업무 및 컨설팅 안산에 산업안전관리대행기관 소개좀 해주세요 산재를 획기적으로 절감할수 있는 씨스템을 갖춘 대행기관의 컨설팅을 받고싶군요 답변)산업안전기관 업무 위탁관련 답변입니다. 철저한 산업안전관리는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한 기업 및.. 산업안전관련 소식 2018.11.20
산업안전관리자 선임대상 사업장 안전전문기관 위탁 법적 근거 사업장내 산업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는 사업장의 경우 자체적으로 산업안전관리자를 채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사업장내 자체적으로 산업안전관리자를 채용하기 어려운 경우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하는 안전관리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이하".. 산업안전대행지역소개 2018.03.26
산업안전관리자 선임-2018년 달라지는 산업안전보건법 주요내용 2018년 달라지는 산업안전보건법 주요내용입니다. 대통령령 제28368호 (2017. 10. 17. 공포, 10. 19. 시행) 1. 산재발생건수 등 공표대상 사업장 확대 2. 도급인・수급인의 산업재해 통합 공표 3. 보건관리자의 자격기준 변경 4. 건설공사 발주자의 안전보건조정자 선임 의무 5. 도급인의 정보제.. 산업안전대행지역소개 2018.01.24
산업안전관리자 선임-산업안전관리업무 산업안전관리자 선임-산업안전관리업무 내용은 무엇인가요? 비공개 현재 근로자수는 48명~52명정도를 넘는달도 있고 안넘는 날도 있습니다. 50인이상의 경우 산업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된다고 하는데 안넘는 날도 1년중에 7달정도는 되거든요! 이런 경우 산업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되.. 산업안전대행지역소개 2017.05.26
산업안전관리자선임-산업안전관리의 필요성 산업안전관리자 선임-산업안전관리 위탁의 필요성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제1항 또는 제16조제1항을 위반하여 안전관리자 또는 보건관리자를 두지 않은 경우 500만원이하의 과태료 부과에 근거하여 상시근로자 50인이상 사업장의 경우 법적으로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자체 선임토록 .. 산업안전관련 소식 2017.05.25
산업안전점검시 구비서류 및 산업안전대행에 대해 질문 질문) 산업안전점검시 구비서류 및 산업안전대행에 대해 질문합니다. 헤이즐럿(cbsa*****) | 2012-08-29 12:41 | 조회 1028 | 답변 1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기계설비를 제작하는 회사로 인원은 대략 26명정도 됩니다. 며칠전에 노동부.검찰 합동점검이 있다는 공문을 받았는데 걱정도 되고 궁금한 점.. 산업안전관련 소식 2013.09.30